유족연금이란? 수급조건 및 사별 후 재혼 시 지급제외
유족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노령연금 수급자가 사망했을 때, 그의 유족이 안정된 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연금입니다.
그리고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에 지급되며, 배우자와 자녀 등 일정한 조건을 갖춘 유족이 수급할 수 있습니다.
노랗 목차
유족연금 수급 조건
유족연금의 수급자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 배우자: 유족연금 수급자 중 1순위입니다.
- 자녀: 25세 미만의 자녀는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모: 60세 이상의 부모도 포함됩니다.
- 손자녀 및 조부모: 19세 미만의 손자녀와 60세 이상의 조부모도 해당됩니다.
- 장애인: 장애등급 2급 이상의 경우, 나이에 관계없이 유족에 해당합니다.
연금의 금액은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지며, 가입 기간이 10년 미만인 경우 기본연금액의 40%, 10년 이상 20년 미만일 경우 50%, 20년 이상이면 60%가 지급됩니다.
여기에 부양가족연금이 추가로 지급되어, 19세 미만의 자녀나 60세 이상의 부모가 있을 경우 연금이 더해집니다.
재혼 시 유족연금 수급권 소멸
유족연금을 받고 있는 배우자가 재혼을 하게 되면, 유족연금 수급권은 소멸됩니다.
재혼 여부 | 유족연금 수급 가능 여부 |
---|---|
재혼 전 | 계속 수급 가능 |
재혼 후 | 수급권 소멸 |
이는 유족연금이 사망한 배우자에 의해 생계를 유지하던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기 때문인데 즉, 재혼을 통해 새로운 가정을 꾸리게 되면, 더 이상 사망자의 유족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50대 A씨는 9년 전 사망한 배우자 덕분에 유족연금을 받고 있다는 가정하에 만약 A씨가 재혼을 결심하게 되면서 유족연금 수급권이 사라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는 A씨가 재혼함으로써 새로운 가정의 생계를 책임질 수 있는 상황으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유족연금 수급권과 형평성 문제
유족연금 제도는 이혼 후 재혼한 경우와 사별 후 재혼한 경우에 따라 수급권의 차이를 보입니다.
소득 상황 | 연금 지급 여부 |
---|---|
최초 3년간 소득 발생 없음 | 계속 지급 가능 |
최초 3년간 소득 발생 | 계속 지급 가능 |
3년 이후 소득 발생 없음 | 계속 지급 가능 |
3년 이후 소득 발생 | 연금 지급 정지 (55세 또는 특정 조건 충족 시까지) |
25세 미만 자녀 또는 장애 자녀 부양 | 계속 지급 가능 |
특히 부부가 이혼 후에는 분할연금이 지급되어 재혼 후에도 수급권이 유지되지만, 사별 후 재혼하는 경우에는 유족연금이 소멸되는 것이 형평성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으며, 사별한 배우자의 기여를 인정하고 안정된 노후를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이상 유족연금은 고인의 유족이 안정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제도이지만 만약 와이프나 남편 등 사별 후 다시 재혼에 따른 수급권 소멸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