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페이백 사용처 총정리 가능한곳과 불가능한곳

상생페이백 사용처 총정리 가능한곳과 불가능한곳

헷갈리기 쉬운 가맹점/직영점 구분부터 온라인·키오스크 결제, 배달앱 ‘만나서 결제’, 백화점 임대매장 예외까지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가기 · 사용 가능 · 사용 불가능 · 자주 틀리는 포인트 · 요약표 · FAQ · 체크리스트

사용 가능: 지역 소상공인 중심의 현장 결제

상생페이백은 지역 상권을 살리는 목적이라 소상공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카드단말기 승인이 핵심입니다. 전통시장, 동네마트, 분식·빵집·정육점 같은 생활밀착 업종, 미용실·세탁소·헬스장·안경점·카센터, 꽃집, 소규모 문화·여가시설에서 결제하면 대체로 인정됩니다. 의원급 병원(내과·치과 등)과 약국, 학원·교습소, 동물병원도 가능하며, 대기업 브랜드라도 가맹점 형태(개인 사업자, 자체 단말기)면 인정될 수 있습니다.

핵심: 매장 간판이 아니라 사업자와 단말기 명의가 가맹점인지가 관건입니다.

사용 불가능: 대기업 직영·대형 유통·온라인/PG 결제

다음은 원칙적으로 불인정되는 사용처입니다. 대형마트(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창고형(코스트코·트레이더스)·SSM(노브랜드·롯데슈퍼·GS더프레시·하나로마트 등), 백화점·아울렛·복합몰·면세점, 대기업 직영 전자/패션/가구 매장(삼성스토어·LG베스트샵·애플스토어·하이마트·이케아·유니클로·자라 등), 프랜차이즈 직영점(스타벅스·맥도날드·버거킹·올리브영·정관장 등), 정유사 직영 주유소,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유흥·사행성 업종, 명품·자동차 등 고액 소비, 세금·공과금·보험료 같은 비소비성 지출이 포함됩니다.

온라인 쇼핑몰·TV홈쇼핑·T커머스, 배달앱 앱 내 결제, 키오스크·테이블오더처럼 PG로 잡히는 결제도 불인정입니다.

자주 틀리는 포인트와 현장 팁

같은 브랜드라도 점포마다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유는 단말기·사업자 명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특히 백화점·대형마트 안의 임대 매장은 소상공인이 독립 단말기로 승인하면 인정될 여지가 있지만, 몰 통합망을 쓰면 불인정입니다. 결제 전 “상생페이백 실적 인정 가능한 단말기인가요?”라고 점주에게 한 번만 확인하면 애매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배달앱은 원칙적으로 제외지만, 배달원이 방문했을 때 매장 또는 휴대용 카드단말기로 처리하는 ‘만나서 결제’는 인정됩니다. 또한 삼성페이·애플페이는 오프라인 단말기를 거치면 인정되지만, 앱/웹에서의 간편결제는 제외됩니다.

사용 가능/불가능 요약표

구분 사용 가능 사용 불가능
유통/마트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료품점, 분식·빵집·정육점 대형마트, 창고형 매장, SSM(노브랜드·롯데슈퍼·GS더프레시·하나로마트 등)
쇼핑몰/백화점 임대 소상공인 매장(자체 단말기 사용 시) 백화점·아울렛·복합몰(스타필드·롯데몰 등), 면세점
브랜드/프랜차이즈 가맹점(개인 운영, 가맹점 명의 단말기) 대기업 직영 매장(삼성스토어·LG베스트샵·애플스토어·이케아·올리브영·정관장 등)
주유 개인 운영 주유소 정유사 직영 주유소(SK·GS칼텍스·현대오일뱅크·S-OIL)
의료/교육/서비스 의원급(내과·치과 등), 약국, 학원·교습소, 미용실·세탁소·헬스장·안경점·카센터, 동물병원 병원급 이상(종합·대학·치과병원·요양병원 등)
결제 경로 오프라인 카드 단말기 결제, 모바일 간편결제(단말기 승인) 온라인 쇼핑, TV/홈쇼핑, 배달앱 앱결제, 키오스크·테이블오더(PG)
지출 성격 생활밀착 실물 소비 세금·공과금·보험료, 통신/교통 자동이체, 명품·자동차 등 고액·비소비성
해외/직구 해외 가맹점 결제, 해외 직구 전부 제외

FAQ

오프라인에서 삼성페이·애플페이로 결제하면 인정되나요?

매장 카드 단말기를 거쳐 승인되면 인정됩니다. 앱/웹에서 결제하거나 키오스크·테이블오더처럼 PG로 처리되면 불인정입니다.

같은 브랜드인데 지점마다 결과가 다릅니다. 왜 그런가요?

간판이 같아도 사업자 형태(가맹/직영)와 단말기 명의가 다르면 승인 코드가 달라집니다. 결제 전에 단말기 명의가 가맹점인지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백화점·대형마트 내 임대 매장은 가능한가요?

임차 소상공인이 자체 단말기로 승인하면 가능할 수 있으나, 몰 통합망이면 불인정일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점주에게 확인하세요.

배달앱은 모두 제외인가요?

앱 내 결제는 제외지만, 배달원이 방문했을 때 매장 또는 휴대용 단말기로 결제하는 ‘만나서 결제’는 인정됩니다.

병원과 약국은 어떻게 되나요?

의원급 병원과 약국은 가능, 병원급 이상(종합·대학·치과병원·요양병원 등)은 불인정입니다.

주유는 어떤 곳이 가능한가요?

개인 운영 주유소는 가능할 수 있으나, 정유사 직영은 불인정입니다. 간판보다는 사업자 형태를 보세요.

세금이나 공과금, 통신요금 같은 고정 지출도 되나요?

비소비성 지출로 분류되어 불인정입니다. 상생페이백은 지역 상권 실물 소비를 장려하는 목적입니다.

해외 결제/직구는 인정되나요?

국내 소비 진작 정책이라 해외 가맹점 결제와 직구는 제외됩니다.

한도와 지급 시점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운영 시기·예산에 따라 월 상한과 지급 방식이 공지됩니다. 일반적으로 당월 즉시가 아닌 익월 또는 분기 정산 포인트/캐시백 형태가 많습니다.

확실히 인정되게 하려면 무엇을 확인해야 하나요?

① 가맹점 여부 ② 단말기 명의 ③ 오프라인 단말기 승인인지 ④ 임대 매장이라면 통합망 여부를 결제 전에 확인하세요.

결제 전 체크리스트

가맹점 맞나요? 직영이면 불인정이에요.

단말기 명의가 점포(가맹점) 명의인가요?

오프라인 단말기로 찍는 결제인가요? PG·키오스크는 제외예요.

백화점·대형마트 내부라면 임대 매장 자체 단말기인지 꼭 확인하세요.

배달은 만나서 결제로 처리 가능한지 물어보세요.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