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 0원 납부자 주의! 지방소득세 신고 누락

홈택스로 끝난 줄 알았죠? 위택스 지방소득세 신고 안 하면 가산세

5월 종합소득세 0원? 그래도 지방소득세는 꼭 신고해야 합니다.종합소득세를 모두채움 유형이나 간편신고 방식으로 제출한 뒤, 최종 산출세액이 0원으로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사업을 하면서 수입보다 경비가 많거나, 공제항목이 많아 실제 납부할 세금이 없는 경우인데요. 이럴 때 많은 분들이 ‘세금이 없으니 끝났다’고 생각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한 가지를 빠뜨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로 지방소득세 신고입니다.

종합소득세는 국세청에 납부하는 ‘국세’이고, 지방소득세는 지자체에 납부하는 ‘지방세’로 이 둘은 별개의 세금이며, 각각 신고와 납부를 따로 해야 합니다.

5월 종합소득세 주택임대사업자 신고 및 체크사항 9

종합소득세는 홈택스에서 신고하고 납부하지만, 지방소득세는 위택스나 각 지자체 세무 포털에서 별도로 신고해야 합니다.

지방소득세는 종합소득세 납부세액의 10%를 기준으로 계산되며, 종소세가 0원이면 지방세도 0원이 맞습니다.

하지만 세액이 0원이라도 반드시 신고 절차는 거쳐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납부 독촉 문자를 받거나 가산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마친 후 전자신고 내역을 조회해보면 오른쪽 끝에 ‘지방세 신고’ 버튼이 있으며 이 버튼을 클릭하면 위택스로 자동 연동되며, 해당 소득에 대한 지방소득세 납부서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제출만 해도 신고는 완료됩니다.

실제 납부할 금액이 없더라도 신고를 완료해야 납세 의무를 다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매년 5월이 되면 처음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몇 년째 신고 중인 사람들도 종종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국세와 지방세가 다르다는 점을 기억하고, 홈택스 신고를 마친 뒤 반드시 지방세도 챙기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지방소득세도 자동으로 신고되나요?

아니요. 종합소득세 신고와는 별개로 위택스에서 반드시 별도 신고가 필요합니다.

종합소득세가 0원이면 지방세는 내지 않아도 되나요?

세액은 0원이지만 신고는 반드시 해야 합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무신고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위택스 말고 다른 방법도 있나요?

일부 지자체는 자체적인 세무 시스템을 운영하지만, 대부분 위택스를 통해 신고 가능합니다. 모바일 앱도 지원됩니다.

종합소득세는 모두채움 신고서로 간단히 제출했는데 지방소득세도 그렇게 되나요?

아닙니다. 종합소득세 모두채움과 달리, 지방소득세는 자동으로 신고되지 않으며 직접 제출해야 합니다.

신고 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종합소득세와 동일하게 5월 31일까지입니다. 마감일을 넘기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신고만 했고 납부는 안 해도 되나요?

세액이 0원이면 납부는 필요 없지만, 신고는 꼭 완료해야 납세 의무를 다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