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메이데이(Mayday)와 랜딩기어, 동체착륙 항공 용어

2024년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는 많은 이들에게 충격을 안겼습니다.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의 원인과 교훈 로컬라이저, 버드 스트라이크 분석

이번 사고로 탑승객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하며 국내 항공 역사상 최악의 참사로 기록되었습니다. 사고는 착륙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조종사가 국제 조난 신호인 ‘메이데이’를 선언하고 긴급 착륙을 시도했지만 불행히도 활주로를 벗어나 외벽과 충돌하며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메이데이Mayday와 랜딩기어 동체착륙 항공 용어 2

이 포스팅에서는 사고와 관련된 주요 항공 용어인 메이데이(Mayday), 랜딩기어(Landing Gear), 동체착륙(Belly Landing), 로컬라이저(Localizer), 그리고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메이데이(Mayday): 국제적인 조난 신호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메이데이Mayday와 랜딩기어 동체착륙 항공 용어 1

메이데이는 항공기, 선박, 우주 비행체 등이 긴급 상황에 처했을 때 사용하는 국제 조난 신호입니다.

  • 유래: 프랑스어 “venez m’aider” (날 도와달라)의 m’aider가 영어화된 것입니다.
  • 사용 방식: 메이데이는 반드시 세 번 반복해 송신(“Mayday, Mayday, Mayday”)해야 하며, 이는 수신자가 긴급 상황임을 명확히 인지하도록 돕습니다.
  • 대응: 메이데이를 수신한 공항 관제탑은 즉각 비행기의 착륙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며 모든 지원을 제공합니다.

사고 당시 제주항공 기장은 엔진 이상으로 착륙 복행(Go Around)을 시도하다가 랜딩기어 고장으로 동체착륙을 결심했으며, 이 과정에서 메이데이를 선언했습니다.

2. 랜딩기어(Landing Gear): 항공기의 바퀴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메이데이Mayday와 랜딩기어 동체착륙 항공 용어 3

랜딩기어는 항공기의 착륙과 이륙 시 지면과의 접촉을 돕는 장치입니다.

  • 종류: 앞바퀴인 노즈 랜딩기어(Nose Landing Gear)와 뒷바퀴인 메인 랜딩기어(Main Landing Gear)로 나뉩니다.
  • 기능: 기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착륙 시 충격을 흡수하며 속도를 감속시킵니다.
  • 문제 상황: 이번 사고에서는 랜딩기어 고장으로 인해 동체착륙을 시도해야만 했습니다.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으면 착륙 시 속도를 줄이거나 충격을 흡수하기 어렵습니다.

3. 동체착륙(Belly Landing): 최후의 선택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메이데이Mayday와 랜딩기어 동체착륙 항공 용어 5

동체착륙은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을 때 기체 하단부로 활주로에 착륙하는 방법입니다.

  • 특징: 조종사가 최대한 기체를 수평으로 유지하며 충격을 최소화하려 노력합니다.
  • 위험성: 속도가 빠를 경우 화재나 폭발 가능성이 높아지며, 연료를 비우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 이번 사고: 사고 여객기는 메이데이 선언 후 랜딩기어 고장 상태에서 동체착륙을 시도했으나 활주로를 벗어나 로컬라이저와 충돌하며 폭발했습니다.

4. 로컬라이저(Localizer): 계기 착륙 보조 장치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메이데이Mayday와 랜딩기어 동체착륙 항공 용어 2 1

로컬라이저는 항공기가 활주로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계기 착륙 시스템(ILS)의 일부입니다.

  • 설치 위치: 활주로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며 충격 시 파손되도록 설계됩니다.
  • 문제점: 무안공항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로컬라이저를 설치해 충격 흡수 대신 피해를 증폭시켰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 사고 상황: 제주항공 여객기는 활주로를 벗어나 로컬라이저와 충돌하며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5.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 항공기의 조류 충돌

버드 스트라이크는 항공기가 새와 충돌해 발생하는 사고입니다.

  • 영향: 특히 이륙과 착륙 시 발생하며, 새가 엔진으로 빨려 들어가면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무안공항의 특성: 주변 논과 습지로 인해 철새 활동이 많아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 이번 사고: 관제탑은 착륙을 시도하는 항공기에 버드 스트라이크 경고를 보냈으나, 이후 엔진에 불꽃이 발생하며 메이데이 선언으로 이어졌습니다.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는 랜딩기어 고장, 동체착륙, 로컬라이저와의 충돌 등 여러 요인이 얽혀 발생한 비극적 참사였습니다. 특히 메이데이와 같은 국제 조난 신호, 항공기 설비의 구조적 중요성에 대한 이해가 사고 분석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이번 사건은 공항 주변 환경 관리와 안전 설비 개선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상기시킵니다. 앞으로 유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예방 조치와 함께 긴급 상황 대처 훈련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 : 비행기 사고 시 보험 보상, 해외여행 사망 보험금에 대한 모든 것

You may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