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편의점 구입 및 충전 환불방법 – 정차역 및 사용불가 역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새로운 동행수단, 기후동행카드가 23일부터 판매를 시작합니다! 아침 7시부터 기후동행카드 편의점, 지하철 고객안전실, 모바일티머니앱을 통해 구매가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실물과 모바일 두 가지 형태의 카드로 제공되며, 각각의 특징과 구매처, 충전 방법, 환불 절차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기후동행카드 편의점 구매처 구매 방법

기후동행카드는 23일부터 구매가 시작됩니다. 아침 7시부터 편의점, 지하철 고객안전실, 모바일티머니앱을 통해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물카드와 모바일카드 두 가지 형태로 나옵니다.

기후동행카드 편의점 구입 및 충전 환불방법 4

기후동행카드 편의점 구입 및 충전 환불방법

실물카드의 경우, 1~8호선 고객안전실에서 3000원의 현금으로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9호선, 신림선, 우이신설선을 이용한다면 역내 편의점이나 인근 편의점에서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카드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폰에서만 이용할 수 있으며, 모바일티머니앱을 통해 발급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충전방법

모바일카드는 앱에서 계좌 이체를 통해 충전할 수 있으며 실물카드는 지하철역 안 무인 충전기를 통해 현금으로 충전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의 경우 삼성페이로 핸드폰에 연동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이용기간과 재충전

한 달의 이용 기간이 끝났다면, 재충전이 필요합니다.

버스 지하철 따릉이 무제한 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 3

기후동행카드 재충전은 사용 기간 만료 5일 전부터 가능하며, 충전하면 만료일로부터 30일 기간이 자동 연장됩니다.

기후동행카드 환불방법 30일이내 가능

기후동행카드 편의점 구입 및 충전 환불방법 1

기후동행카드 사용기간 만료 전(개시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사용 잔액 환불을 원하는 고객은 환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티머니 카드&페이 모바일에서는 앱 실행 후 환불을 선택하고 계좌 입력을 하며, 실물인 경우 무인 충전기에서 사용 정지 후 사용 만료일 +15일 이내에 홈페이지에서 환불 신청을 하고 계좌 입력을 합니다.

기후동행카드 편의점 구입 및 충전 환불방법 3

환불액은 카드충전금에서 대중교통 사용금액과 수수료(500원)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 잔액이 5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티머니 본사로 내방하시거나, 티머니 잔액환불 기능이 있는 ATM에서 해당은행 계좌로 환불이 가능합니다.
  • 단, 모바일티머니(티머니 갤럭시워치 포함), 홈플러스(짱플러스)카드, 보급형카드는 ATM에서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ATM 환불은 주민번호 기준으로 월 50만원까지 가능하며, 환불금액은 해당은행 본인명의 계좌로 입금됩니다.
  • 유패스카드(보급형/고급형), 탑캐시카드, 티머니카드(보급형)는 실물 반납시에만 잔액 환불 가능합니다.
  • ※ 환불접수처 : 수도권 지하철 역사 내 고객안내소(모바일티머니 환불 불가)
    티머니 본사, 은행 ATM, 편의점 등
    단, 부분환불 서비스는 티머니 본사, 지하철 역사 내 고객안내소에서만 가능합니다.
  • ※ 부분환불 금액 제한 : 환불요청금액 1만원이상 ~ 5만원 이하 (부분환불금액 단위 건당 1만원)

이렇게 기후동행카드의 구매처, 충전방법, 이용기간과 재충전, 그리고 환불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일 것입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지하철 구간

구분호선 – 지하철
서울시 안이라 가능(1호선) 온수/금천구청~도봉산
(2호선) 전 구간
(3호선) 구파발~오금
(4호선) 남태령~당고개
(5호선) 방화~강일/마천
(6호선) 전 구간
(7호선) 온수~천왕, 가산디지털단지~도봉산
(8호선) 암사~복정
(9호선) 전 구간
(우이신설선), (신림선) 전 구간
(경의중앙선) 수색~서울역/양원
(경춘선) 청량리~신내
(수인분당선) 청량리, 왕십리~복정
(공항철도) 김포공항~서울역
(서해선) 김포공항
서울시 밖인데도 가능
(승하차 모두 가능)
(3호선) 지축(고양시)
(7호선) 장암(의정부시), 광명사거리~철산(광명시)
(8호선) 남위례~모란(성남시)
서울시 밖인데도 가능
(하차만 가능)

(경기도 거주 – 서울 직장인은
퇴근 시 활용 가능)
(4호선) 별내별가람~진접
(5호선) 미사~하남검단산
(7호선) 석남~까치울
(김포골드라인) 전구간
서울시 안인데 불가능신분당선

기후동행카드로 승하차 가능한 지역 및 구간

지역/시호선과 구간상세 정보
과천시4호선 선바위역~정부과천청사역승하차 가능
남양주시4호선 진접역~별내별가람역승하차 가능
남양주시8호선 별내역~다산역승하차 가능
남양주시경춘선 별내역승하차 가능
구리시8호선 동구릉역~장자호수공원역승하차 가능
구리시경의중앙선 구리역승하차 가능
하남시5호선 미사역~하남검단산역하차만 가능
성남시8호선 남위례역~모란역승하차 가능
성남시수인분당선 모란역승하차 가능
광명시7호선 광명사거리역~철산역승하차 가능
의정부시7호선 장암역승하차 가능
고양시3호선 대화역~삼송역승하차 가능
고양시경의중앙선 한국항공대역~탄현역승하차 가능
고양시서해선 능곡역~일산역승하차 가능
부천시7호선 까치울역~상동역하차만 가능
김포시김포골드라인 전구간승하차 가능
인천광역시7호선 석남역~삼산체육관역하차만 가능
인천광역시공항철도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하차만 가능

기후동행카드로 승하차 불가능한 역

지역/시호선과 구간상세 정보
남양주시경의중앙선 도농역~운길산역승하차 불가
구리시경춘선 갈매역승하차 불가
성남시신분당선 판교역~미금역승하차 불가
성남시GTX 성남역승하차 불가
성남시경강선 판교역~이매역승하차 불가
성남시수인분당선 태평역,가천대역, 이매역,오리역승하차 불가
광명시1호선 광명역승하차 불가
의정부시1호선 망월사역~녹양역승하차 불가
의정부시의정부경전철 발곡역~탑석역승하차 불가
부천시1호선 역곡역~송내역승하차 불가
인천광역시인천 1호선 계양역~송도달빛축제공원역승하차 불가
인천광역시인천 2호선 검단오류역~운연역승하차 불가
인천광역시1호선 부개역~인천역승하차 불가
인천광역시수인분당선 인천역~소래포구역승하차 불가
인천광역시공항철도 계양역~공항화물청사역승하차 불가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버스 구간

서울시 소속 버스
(차량번호판에 ‘서울’표시)
간선버스(파란버스), 심야버스(파란버스)
지선버스(초록버스), 마을버스(초록버스),
순환버스(노란버스)
간선버스형 서울동행버스(02, 04, 05번)
서울시 소속 버스인데 불가광역버스(빨간버스) 예: 9401, 9408, 9701 등
광역버스형 서울동행버스(01, 03, 06번)
공항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시 소속 버스라면
서울 바깥에서도 승하차 가능

(서울 바깥 승차 후,
서울 바깥 하차도 가능)
경기도 지역에서 운행되는 서울 버스 이용 가능
예: 성남시 302번, 안양시 540번, 광명시 5714번, 고양시 700번 등
경기도 소속 버스라서 불가
(차량번호판에 ‘경기’표시)
서울 안에서 운행해도 불가(시내버스, 광역버스 모두 불가)
예: 삼성역 11-3번, 서울역 9000번 등
인천시 소속 버스라서 불가
(차량번호판에 ‘인천’표시)
서울 안에서 운행해도 불가(시내버스, 광역버스 모두 불가)
예: 송정역 300번, 삼성역 M6450번 등

기후동행카드 마을버스

마을버스의 경우 지역 이름과 번호로 구성된 모든 서울 마을버스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동행버스 중에서는 서울02, 서울04, 서울05번 버스만 가능하며, 서울01, 서울03, 서울06번 동행버스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사용 가능한 버스

  • 서울시 시내버스
    • 초록색(지선), 파란색(간선) 버스에서 이용 가능.
    • 예: 342, 143, 3412, 6637 등.
  • 서울시 마을버스
    • 서울 지역 이름 + 번호 형식의 마을버스에서 사용 가능.
    • 예: 동작01, 서초18, 금천01 등.
  • 심야버스 (N버스)
    • N으로 시작하는 서울 심야버스 전 노선 이용 가능.
    • 예: N13, N26, N75 등.
  • 일부 동행버스
    • 서울 동행버스 중 간선버스형(02, 04, 05번)만 사용 가능.
    • 단, 01, 03, 06번은 사용 불가.

반면,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외 지역의 버스나 광역버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사용 불가 버스

  1. 서울 외 지역 면허 버스
    • 경기(G), 인천(I) 등 타 지역 면허 버스는 불가.
    • 예: 1000(인천), 1301(경기), 8601(김포) 등.
  2. 광역버스 (빨간버스)
    • 번호가 9로 시작하는 광역버스는 기본요금 체계가 달라 사용 불가.
    • 예: 9401, 9408 등.
  3. 공항버스 및 관광버스
    • 공항버스, 서울 시티투어버스 등은 이용 불가.
  4. 광역버스형 동행버스
    • 01, 03, 06번 서울 동행버스는 사용 불가.

경기도 면허의 G버스, 인천 면허의 I버스 등은 호환되지 않으며, 빨간색 광역버스(9로 시작하는 버스) 또한 기본요금 체계가 달라 이용할 수 없습니다. 공항버스와 서울 시티투어버스 역시 기후동행카드 사용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상 기후동행카드 사용가능 구간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후동행카드를 발행하는 공식 웹사이트나 관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정확하고 최신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사용 가능 구간, 변경 사항 및 기타 중요한 공지사항을 찾을 수 있습니다.

You may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