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도 퇴직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사기업에서 근무하다 퇴직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반면, 공무원은 퇴직 후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공무원이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공무원들도 있습니다.

공무원 실업급여

실업급여 가입대상은?

공무원의 고용보험 가입 여부

실업급여는 고용보험법에 따라 지급되므로,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 예술인 또는 노무제공자여야 합니다. 자영업자도 가입할 수 있으나 의무 가입 대상은 아닙니다. 자영업자의 경우 희망 시에만 가입 가능합니다.

공무원의 고용보험 가입여부

공무원, 군인 및 사학연금 가입자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없으며 이는 직업 특성상 안정성이 보장되어 실업 위험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공무원은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으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공무원

그러나 일부 공무원은 예외적으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 가입제외 대상

별정직 공무원 및 임기제 공무원: 최초 임용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고용보험 가입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근로복지공단에 가입신청서와 재직증명서를 제출해야 하며, 3개월 이내에 신청하지 않으면 가입이 불가합니다.

이로 인해 일부 공무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고 오해하는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별정직 및 임기제 공무원에 한정된 사항입니다.

공무원의 고용보험 의무 가입 논의

일부 의견에서는 공무원도 고용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공무원이 고용보험료를 납부하면 실업급여 재원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어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이유입니다.

공무원연금 수령자의 실업급여 가능여부

공무원에서 퇴직하여 공무원연금을 수령하는 사람도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1. 재취업 후 고용보험에 가입
  2.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이상 충족
  3. 비자발적인 사유로 퇴사
  4. 적극적인 구직활동 증빙

65세 이상인 경우 고용보험 가입이 제외되므로, 65세 이전에 고용보험에 가입하여야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무원은 일반적으로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지만, 일부 별정직 및 임기제 공무원은 예외적으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을 수령하는 경우에도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 공무원의 고용보험 가입 여부에 대한 논의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You may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