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가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이는 건설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임금 기준으로, 대한건설협회에서 매년 발표하는 공식 자료에 기반합니다.
2025년 상반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 주요 내용 및 분석 4
건설업계는 물론, 청소, 인테리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 이번 노임단가는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으며, 물가 상승과 건설 인력 부족 현상 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 주요 변화
(단위: 원, 1일 8시간 기준)
| 직종명 | 2025년 상반기 노임 | 2024년 하반기 노임 | 변동액 | 비고 |
|---|
| 작업반장 | 213,033 | 209,949 | +3,084 | 작업 지휘 및 인부 통솔 |
| 보통인부 | 169,804 | 167,081 | +2,723 | 단순 육체노동 및 일반 작업 |
| 특별인부 | 221,506 | 219,321 | +2,185 | 높은 숙련도 요구 작업 |
| 조력공 | 172,000 | 169,000 | +3,000 | 숙련공 보조 역할 |
| 연마공 | 201,535 | 201,535 | – | 동결 (인조석 광택 작업) |
| 줄눈공 | 202,696 | 202,000 | +696 | 석축, 조적조의 줄눈 작업 |
| 위생공 | 219,040 | 217,500 | +1,540 | 건설 현장의 위생 관리 작업 |
| 화물차 운전사 | 237,500 | 234,500 | +3,000 | 화물차량 운전 및 운송 지원 |
| 잠수부 | 488,000 | 485,000 | +3,000 | 6시간 기준, 고위험 작업 |
- 작업반장: 213,033원 (전기 대비 3,084원 상승)
- 보통인부: 169,804원 (전기 대비 2,723원 상승)
- 특별인부: 221,506원 (전기 대비 2,185원 상승)
직종별 상승률은 약 1.3~1.5%로,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안정적인 인상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건설업 주요 직종의 평균 임금은 2023년 대비 약 8% 상승하여,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참고 :
노임단가 상승의 의미
- 물가 상승 반영
최근 몇 년간 고물가 현상이 지속되면서, 건설업에서도 인건비가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 인건비 상승은 노동자의 생활 안정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동시에 기업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 증가라는 과제를 안기고 있습니다.
- 고숙련 직종 수요 증가
일반직종보다 고숙련 직종(예: 광전자 직종, 국가유산 직종 등)의 임금 상승률이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이는 기술 기반의 고숙련 노동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산업 자동화 가속화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로봇 및 자동화 기술을 도입하는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건설업뿐만 아니라, 제조업, 청소업 등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단기적으로는 고용 감소로 이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직종별 임금 차이와 전망
2025년 상반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 주요 내용 및 분석 5
일반공사 직종
| 번호 | 직종명 | 2025년 1월 1일 임금 (₩) |
|---|
| 1001 | 작업반장 | 213,033 |
| 1002 | 보통인부 | 169,804 |
| 1003 | 특별인부 | 221,506 |
| 1004 | 조력공 | 180,331 |
| 1005 | 제도사 | 232,099 |
| 1006 | 비계공 | 279,433 |
| 1007 | 형틀목공 | 272,831 |
| 1008 | 철근공 | 264,104 |
| 1009 | 철공 | 237,754 |
| 1010 | 철판공 | 219,236 |
| 1011 | 철골공 | 250,239 |
| 1012 | 용접공 | 278,326 |
| 1013 | 콘크리트공 | 266,361 |
| 1014 | 보링공 | 225,273 |
| 1015 | 착암공 | 220,081 |
| 1016 | 화약취급공 | 258,751 |
| 1017 | 할석공 | 236,986 |
| 1018 | 포설공 | 216,121 |
| 1019 | 포장공 | 267,989 |
| 1020 | 잠수부 | 388,892 |
| 1021 | 조적공 | 266,624 |
| 1022 | 견출공 | 243,075 |
| 1023 | 건축목공 | 277,894 |
| 1024 | 창호공 | 248,350 |
| 1025 | 유리공 | 248,139 |
| 1026 | 방수공 | 220,722 |
| 1027 | 미장공 | 272,354 |
| 1028 | 타일공 | 284,337 |
| 1029 | 도장공 | 253,409 |
| 1030 | 내장공 | 252,249 |
| 1031 | 도배공 | 222,618 |
전기공사 직종
| 번호 | 직종명 | 2025년 1월 1일 임금 (₩) |
|---|
| 2001 | 전기공사 기사 | 327,381 |
| 2002 | 전기공사 산업기사 | 289,211 |
| 2003 | 변전전공 | 477,832 |
| 2004 | 코킹공 | 206,732 |
정보통신 직종
| 번호 | 직종명 | 2025년 1월 1일 임금 (₩) |
|---|
| 3001 | 통신 설비 기사 | 316,183 |
| 3002 | 데이터 통신 기사 | 297,137 |
| 3003 | 네트워크 관리 기사 | 324,771 |
기계 설치 및 유지보수 직종
| 번호 | 직종명 | 2025년 1월 1일 임금 (₩) |
|---|
| 4001 | 기계설치 기사 | 267,213 |
| 4002 | 기계유지보수 기사 | 252,187 |
| 4003 | CNC 기계조작원 | 243,300 |
| 4004 | 공조 냉동 기사 | 265,000 |
| 4005 | 유압기계 기사 | 270,500 |
| 4006 | 펌프 설치 및 유지보수 기사 | 275,400 |
| 4007 | 자동화 설비 기사 | 280,300 |
| 4008 | 로봇 설치 기사 | 290,200 |
| 4009 | 전기기계 설치 및 유지보수 기사 | 260,100 |
| 4010 | 포장기계 기사 | 255,000 |
| 4011 | 인쇄기계 기사 | 250,900 |
| 4012 | 섬유기계 기사 | 245,800 |
| 4013 | 금속가공기계 기사 | 240,700 |
| 4014 | 생산설비 기사 | 235,600 |
| 4015 | 중장비 기사 | 230,500 |
환경 및 청소 직종
| 번호 | 직종명 | 2025년 1월 1일 임금 (₩) |
|---|
| 5001 | 환경관리 기사 | 235,104 |
| 5002 | 폐기물 처리 기사 | 219,213 |
| 5003 | 공공청소원 | 178,999 |
| 5004 | 수질관리 기술자 | 240,150 |
| 5005 | 대기환경 관리 기사 | 225,475 |
| 5006 | 녹지 관리 기사 | 212,300 |
| 5007 | 위험물 관리 기사 | 232,450 |
| 5008 | 해양환경 기사 | 245,500 |
| 5009 | 재활용 관리자 | 220,100 |
| 5010 | 환경영향평가 기술자 | 259,675 |
| 5011 | 오염방지 시설 기사 | 234,188 |
| 5012 | 환경 컨설턴트 | 250,345 |
| 5013 | 에코디자이너 | 268,990 |
| 5014 | 공해조사 기사 | 227,500 |
| 5015 | 해양보호구역 관리자 | 242,320 |
교육 및 훈련 직종
| 번호 | 직종명 | 2025년 1월 1일 임금 (₩) |
|---|
| 6001 | 기술교육 트레이너 | 291,084 |
| 6002 | 안전교육 강사 | 274,321 |
| 6003 | 직업훈련 교사 | 280,220 |
| 6004 | 기업 내 교육자 | 265,110 |
| 6005 |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 | 258,930 |
| 6006 | 교육 컨설턴트 | 300,350 |
| 6007 |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 320,000 |
| 6008 | 성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 | 285,000 |
| 6009 | 언어 치료사 | 295,200 |
| 6010 | 문화 교육자 | 270,123 |
| 6011 | 사이버 보안 교육자 | 310,450 |
| 6012 | 스포츠 트레이너 | 275,600 |
| 6013 | 학습지도 컨설턴트 | 260,780 |
| 6014 | 고등교육 기획자 | 288,900 |
| 6015 | 교육 기술자 | 301,540 |
의료 및 보건 직종
| 번호 | 직종명 | 2025년 1월 1일 임금 (₩) |
|---|
| 7001 | 간호사 | 345,300 |
| 7002 | 임상병리사 | 328,487 |
| 7003 | 응급구조사 | 300,221 |
| 7004 | 약사 | 370,000 |
| 7005 | 물리치료사 | 320,340 |
| 7006 | 방사선 기사 | 295,120 |
| 7007 | 치과기사 | 280,780 |
| 7008 | 보건교육자 | 265,940 |
| 7009 | 치과의사 | 385,500 |
| 7010 | 병원행정관리자 | 355,100 |
| 7011 | 임상심리사 | 337,150 |
| 7012 | 보건의료 정보 관리자 | 315,200 |
| 7013 | 직업 건강 및 안전 전문가 | 340,300 |
| 7014 | 병원 약제사 | 360,400 |
| 7015 | 의료기기 판매 및 관리 | 298,300 |
국가 및 공공 서비스
| 번호 | 직종명 | 2025년 1월 1일 임금 (₩) |
|---|
| 8001 | 공무원 (7급) | 371,000 |
| 8002 | 공무원 (9급) | 292,500 |
| 8003 | 소방관 | 310,234 |
| 8004 | 경찰관 | 330,500 |
| 8005 | 국방부 직원 | 345,400 |
| 8006 | 도서관 사서 | 260,100 |
| 8007 | 우체국 직원 | 275,320 |
| 8008 | 시립박물관 큐레이터 | 350,200 |
| 8009 | 도시 계획가 | 360,500 |
| 8010 | 통계분석가 | 340,320 |
| 8011 | 공공정책 분석가 | 330,400 |
| 8012 | 재난관리 전문가 | 320,510 |
| 8013 | 도로교통 관리자 | 310,300 |
| 8014 | 공공서비스 디자이너 | 300,200 |
| 8015 | 환경규제 관리자 | 290,100 |
- 고숙련 노동자 우위: 광전자, 국가유산 직종 등 고숙련 노동 직종은 임금 격차가 더욱 벌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 단순노동직 감소 가능성: 보통인부 등 단순노동직은 자동화 기술의 대체를 받기 쉬운 영역으로, 장기적으로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노동력 부족 지속: 젊은 세대의 건설업 기피와 고령화로 인해 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임금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상반기 시중노임단가 활용 팁
2025년 상반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 주요 내용 및 분석 6
- 정확한 직종 확인: 직종별로 노임단가가 상이하므로, 본인이 속한 직종의 기준을 명확히 확인하세요. 작업반장, 보통인부, 특별인부 외에도 줄눈공, 교통정리원 등 세부 직종이 다양합니다.
- 첨부파일 확인: 대한건설협회가 제공하는 임금 실태 조사 보고서에서 상세한 직종 해설과 임금 기준을 다운로드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안전이 최우선!
건설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입니다. 임금 상승과 더불어 안전 장비 및 작업 환경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야 합니다. 항상 자신의 몸을 우선으로 생각하며, 건강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만들어가시길 바랍니다.
다가오는 2025년, 건설업계에 종사하시는 모든 분들께 안정과 평안이 깃들길 기원합니다! 😊
참고 : 2024년 상반기 정부 노임단가표 직종별 평균임금
참고 : 2023년 상반기 정부 노임단가표 직종별 평균임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