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메달리스트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연금 및 아파트 군면제 혜택
2024 파리올림픽의 개막과 함께 각국의 메달 포상금 규모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올림픽 메달은 선수 개인에게 큰 영광이지만 국가 차원에서도 중요한 성과로 간주되기 때문에, 각국 정부는 메달리스트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국가 | 금메달 포상금 | 은메달 포상금 | 동메달 포상금 | 특별 포상 |
---|---|---|---|---|
사우디아라비아 | 약 19억원 예상 | – | – | 아직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선례 없음 |
싱가포르 | 100만 싱가포르 달러 (약 10억원) | 50만 싱가포르 달러 (약 5억원) | 25만 싱가포르 달러 (약 2억5000만원) | – |
홍콩 | 600만 홍콩 달러 (약 10억원) | 300만 홍콩 달러 (약 5억원) | 150만 홍콩 달러 (약 2억5000만원) | 단체전 금메달리스트에게 1200만 홍콩 달러 (약 21억원) 지급 |
미국 | 3만7500달러 | 2만2500달러 | 1만5000달러 | – |
폴란드 | 4만~6만5000달러 (약 5500만9000만원) | – | – | 고급 다이아몬드, 2인 여행권, 유명 예술가의 작품, 바르샤바 광역 수도권의 침실 2개 아파트 |
말레이시아 | 100만 링깃 (약 3억원) | 30만 링깃 (약 9000만원) | 10만 링깃 (약 3000만원) | 외제차 |
영국, 노르웨이, 스웨덴 | 별도 현금 포상금 없음 | – | – | – |
대한민국 | 6300만원 | 3500만원 | 2500만원 | 월 연금(금: 100만원, 은: 75만원, 동: 52만5000원) 또는 일시금 선택 가능 (금: 6720만원, 은: 5600만원, 동: 3920만원) |
특히, 메달 획득이 드문 국가일수록 포상금 규모가 더욱 크며, 현금 외에도 아파트, 외제차, 보석 등을 포함한 포상이 주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별도의 현금 포상금 없이 국가적인 명예만 부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올림픽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연금 제도
우리나라는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점수제에 기반한 연금을 지급합니다. 하지만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의 경우 점수와 상관없이 최고 연금 월 100만 원이 지급됩니다.
연금은 매월 정기적으로 지급되며, 일시금으로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선수들이 경기 이후에도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구분 | 연금 / 일시금 | 포상금 |
---|---|---|
금메달 | 월 100만원 / 일시금 6,720만원 | 6,300만원 |
은메달 | 월 75만원 / 일시금 5,600만원 | 3,500만원 |
동메달 | 월 52.5만원 / 일시금 3,920만원 | 2,500만원 |
금메달리스트는 월 100만 원의 연금을 받으며, 일시금으로는 6,72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은메달리스트는 월 75만 원의 연금을 받으며 일시금으로는 5,600만 원을, 동메달리스트는 월 52.5만 원의 연금을 받으며 일시금으로는 3,92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포상금도 별도로 지급되며 금메달리는 6,300만 원, 은메달리는 3,500만 원, 동메달리는 2,500만 원을 받습니다.
2. 연금 지급 기간 및 조건
연금은 선수의 사망할 때까지 지급됩니다. 이는 선수들이 경기 이후에도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지만 만약 올림픽 메달리스트라고 하더라도 범죄나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경우 연금 지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국제대회 메달 획득 시 부여되는 연금 점수표
대회 구분 | 메달 등급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4위 | 5위 | 6위 |
---|---|---|---|---|---|---|---|
올림픽대회 / 장애인올림픽대회 | 90 | 70 | 40 | 8 | 4 | 2 | |
농아인 올림픽대회 | 90 | 70 | 40 | ||||
세계선수권대회 | 4년 주기 | 45 | 12 | 7 | |||
세계선수권대회 | 2~3년 주기 | 30 | 7 | 5 | |||
세계선수권대회 | 1년 주기 | 20 | 5 | 2 | |||
장애인 세계선수권대회 | 4년 주기 | 30 | 8 | 5 | |||
장애인 세계선수권대 | 2~3년 주기 | 15 | 4 | 3 | |||
장애인 세계선수권대 | 1년 주기 | 7 | 2 | 1 | |||
기타 국제대회 | 10 | 2 | 1 |
국제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선수들에게는 대회의 중요도와 메달의 종류에 따라 연금 점수가 부여됩니다.
한 선수가 장애인 올림픽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면 90점의 연금 점수를 부여받습니다. 이 점수는 장애인 올림픽대회에서의 성과를 높이 평가한 것으로,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최고 수준의 보상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다른 선수가 4년 주기로 열리는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경우 45점의 연금 점수를 받습니다. 같은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면 12점, 동메달을 획득하면 7점을 받게 되는데 이는 대회의 주기와 중요도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점수 체계를 반영한 것입니다.
추가로 올림픽 메달리스트는 연금 점수와 관계없이 최고 연금을 받는 혜택을 누립니다. 구체적으로, 금메달리스트는 최고 월 100만 원의 연금을 받을 수 있으며, 이 금액은 매달 정기적으로 지급됩니다. 은메달리스트는 월 75만 원, 동메달리스트는 월 52만 5천 원의 연금을 받습니다.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은 연금과 별도로, 연금 점수제에 따른 추가 혜택을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선수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이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또 한 번 획득했다면, 그 선수는 올림픽 금메달로 인해 최고 연금(월 100만 원)을 받으며,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받은 45점에 해당하는 일시금 또한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일시금은 연금 점수가 110점에 미치지 못할 경우 그 점수에 맞춰 지급됩니다.
이는 연금 제도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단체 경기의 경우 팀 전체가 동일하게 연금을 받되, 문화체육부의 포상금은 75%만 지급됩니다. 이는 팀 스포츠의 특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3. 올림픽 메달 회득 시 기타 혜택
1. 군대 병역 면제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 남자 선수들은 예술체육요원 자격을 부여받아 군 복무를 면제받을 수 있으며 이는 선수들이 경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그들의 운동 경력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해줍니다.
예술체육요원: 올림픽 메달리스트는 예술체육요원으로 편입되어 4주간의 기초 군사훈련을 받습니다.
그리고 이후 34개월 동안 자신의 종목에서 활동하며 복무를 대신하며 이를 통해 선수들은 군 복무 기간 동안에도 훈련과 경기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참고 : 올림픽 금메달 따도 군대면제 없다 병역특례 조건
2. 아파트 특별공급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은 아파트 특별공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선수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특별공급 기준: 주택 특별공급 대상은 주로 금메달리스트에게 적용되며, 은메달리스트와 동메달리스트도 일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별공급 주택은 국가나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경우가 많으며, 선수들은 일반적인 청약 절차 없이 주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공공분양주택 특별공급
- 공공분양주택: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급하는 분양주택으로, 메달리스트들이 일반 청약 절차를 거치지 않고 특별공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 절차: 메달리스트는 해당 자격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하여 특별공급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2. 공공임대주택 특별공급
- 공공임대주택: 정부나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임대주택으로, 메달리스트들이 저렴한 임대료로 주거를 안정적으로 마련할 수 있습니다.
- 임대 조건: 일반적인 임대 조건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임대주택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임대 기간 동안 안정적인 주거를 보장받습니다.
3. 민간분양주택 특별공급
- 민간분양주택: 민간 건설사가 공급하는 주택 중 일부를 메달리스트들에게 특별공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민간 기업이 국가에 기여한 선수들에게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 신청 절차: 공공분양주택과 마찬가지로 메달리스트는 자격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하여 특별공급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4. 기타 특별공급
- 지방자치단체 특별공급: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 출신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에게 특별공급 혜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는 지역사회와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지역 출신 선수들의 공로를 인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 특별공급 조건: 지방자치단체마다 특별공급 조건이 다를 수 있으며, 구체적인 혜택은 해당 지자체의 정책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별공급 신청 및 조건
- 신청 절차: 메달리스트는 특별공급을 신청할 때 필요한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는 보통 메달리스트임을 증명하는 서류와 함께, 해당 주택의 특별공급 자격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서류를 포함합니다.
- 자격 조건: 특별공급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는 주택 소유 여부, 소득 수준, 가족 구성원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3. 세금 혜택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은 세금 면제 혜택도 받습니다. 이는 선수들이 받은 보상이 온전히 그들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소득세와 관세 면제: 올림픽 메달 실물은 소득세와 관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이는 메달리스트들이 경기에서 받은 메달을 부담 없이 소유할 수 있도록 합니다.
체육연금 및 포상금 비과세: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받는 체육연금과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지급하는 포상금도 전액 비과세입니다. 이를 통해 선수들은 경제적으로 더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그 외 혜택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은 위의 주요 혜택 외에도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선수들의 경기 이후 생활을 지원하고, 그들의 노고를 인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의료 지원: 국가대표 선수들은 경기 중 부상이나 건강 문제에 대해 의료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선수들이 경기에서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교육 지원: 일부 메달리스트들은 교육비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선수들이 경기 이후 학업을 이어나가거나 새로운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취업 지원: 은퇴 이후에도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메달리스트들에게는 취업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 이는 선수들이 경기 이후의 삶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국가유공자 혜택: 일부 국가에서는 올림픽 메달리스트를 국가유공자로 지정하여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는 선수들이 국가를 위해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는 것입니다.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에게 주어지는 혜택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며 일부는 국가를 위해 헌신한 선수들에게 충분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혜택이 과도하다고 비판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논란은 사회적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국가를 대표하여 경기에 임하는 선수들의 노고를 인정하는 사람들은 혜택을 긍정적으로 보지만, 반대 의견을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혜택이 과도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